의료계 "응급실 문제는 배후진료과 문제도 같이 해결해야"

응급실 의사는 응급처치 후 진료과로 연결시키는 게 일
의료공백으로 연결 무너지면서 환자도 고통
정부·의료계 문제 인식 같지만 해법은 서로 달라
이한별 기자 2024-09-03 11:15:13
의정갈등의 장기화로 인한 응급실 과부하가 우려되고 있는 29일 대구 시내의 한 대학병원 응급실 앞으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매일신문제공


반 년 째 이어지고 있는 의료공백 상황 때문에 추석 전후로 전국의 응급의료체계가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고음이 여기저기서 들려오고 있다. 의료계는 응급의료체계의 위기가 단순히 응급실의 인력 보강이 문제가 아니라 응급 진료 후 해당 질환에 맞게 치료를 수행하는 '배후진료과'의 문제가 더 심각하다고 지적한다.

2일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응급의학과 의사들은 의료공백 상황으로 인해 응급실 내부의 인력이 줄어든 것도 문제지만 응급처치로 급한 치료는 해 놓는다해도 제대로 치료를 하기 위한 진료과에 환자를 넘길 수 없는 경우가 부지기수라고 말한다.

예를 들면 가슴에 통증이 심해 쓰러져 의식을 잃은 환자가 응급실로 실려오면 응급의학과 의사들은 환자가 쓰러진 원인을 파악한 뒤 의식을 찾도록 처치에 들어간다. 만약 심장이 멈췄다면 제세동기를 이용하거나 심폐소생술을 통해 의식을 찾도록 조치한다. 그 다음 환자의 질환과 병명에 맞는 진료과에 연락해 환자가 바로 진료받을 수 있도록 연결한다. 앞서 말한대로 심장이 멈춘 것으로 파악됐다면 심장내과나 심장혈관흉부외과로 연락해 전문의가 치료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응급의학과 의사들은 의료공백 상황이 반 년 이상 지속되면서 이러한 연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한다. 의료공백 이전이라면 병원 내 각 진료과 전공의들이 당직근무를 하면서 질환에 필요한 처치를 시행하거나 중증일 경우 교수들에게 연락해 긴급 수술에 들어갈 수 있었다.

하지만 현재는 당직을 설 전공의들이 병원에 없고, 교수들이 당직을 선다 해도 응급 상황에 모두 대응하는 데에는 물리적으로 한계가 있다고 말한다. 한 대학병원의 교수는 "평일 진료에 예약돼 있는 수술, 그리고 교수로서 해야 할 연구까지 해야 하는데 여기에 응급실 당직까지 들어가버리면 업무강도가 의사가 아니라 인간으로써도 감당할 수 있을 수준이 아닐 정도"라고 말했다.

2일 대구 시내 한 상급종합병원의 응급실 종합상황판.


정부 또한 문제를 모르지는 않는 모습이다. 2일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응급실 상황을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에 "문제는 응급실 뿐만 아니라 배후 진료"라고 말했다.

하지만 해결책에 있어서는 정부와 의료계가 너무 상반된 견해를 내보이고 있어 앞으로 벌어질 응급의료체계 문제가 해결될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조 장관은 같은 인터뷰에서 "해당 문제는 의료계 집단행동 이전부터 있었기 때문에 의료개혁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며 "운영에 어려움은 있지만 진료 유지는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의료계는 정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미 지난 1일 대한응급의학의사회와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가 입장문을 통해 "억지로 응급실 문을 열어 둔다고 현 상황에서 환자를 받을 수 있느냐"며 "응급실 위기라는 현 상황을 부정한 채 내놓은 부적절하고 눈 가리기식 응급실 위기관리 대책은 현 상황을 악화할 뿐"이라고 말했다.

대구의 한 종합병원 응급실 전문의도 "현재 응급실이 의사 부족으로 겪는 고통도 크지만 결국 배후진료과와의 연결할 수 있는 의료전달체계를 바로잡는 것도 매우 시급한 문제임이 이번 상황 속에서 다 드러났다"며 "정부가 신경써야 할 부분은 응급실에서 입원실로 이어지는 이 흐름을 빨리 복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