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커져가는 '산불' 대응책은?…정희용 의원, 국회서 토론회 개최

산불 감시체계·인력 운영 방식 등 바뀌어야
윤서진 기자 2025-04-11 14:59:10
▲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고령성주칠곡)은 지난 10일 국회에서 같은 당 유용원 의원과 함께 '국가 산불재난대응체계 혁신을 위한 긴급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희용 의원실 제공


지난 3월 역대 최대 피해를 안긴 영남권 대형산불 사태를 계기로 대한민국의 산불 대응체계 전반을 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산불 진화체계 패러다임을 바꾸고 첨단 장비 등이 도입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고령성주칠곡)은 지난 10일 국회에서 같은 당 유용원 의원과 함께 '국가 산불재난대응체계 혁신을 위한 긴급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는 국민의힘 지도부 등 의원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일제히 산불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예산 마련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산불 재난대응체계 전반에 대한 근본적인 재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는 대한민국의 산불 대응체계 전반을 점검하고자 마련됐다. 세미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산불 공중진화의 기술적 보완과 산불 감시체계 고도화, 인력 운영 방식 전환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미나 발표자로는 고기연 (사)한국산불학회 회장, 전영윤 (사)KASA 회장, 전동근 'Quantum Aero' 대표가 나섰다. 이들은 산불 공중진화 체계를 비판하고 산불진화헬기 대신 고정익 항공기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AI 기술을 활용하는 방안도 함께 언급됐다.

이어진 토론에는 김규범 가톨릭대학교 무인항공학과 교수, 김용민 대한민국 공군본부 작전과장, 도규명 경상북도청 산림정책과장, 배택훈 (사)한국산불학회 부회장, 우충식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이 참여했다.

이들은 ▷산불 대응 수단으로서의 드론 기술 활용과 한계 ▷경상북도 산불진화 임차헬기 진화체계에 대한 개선방안 ▷고정익 공중진화 전략 및 전술 ▷무인기를 활용한 산불 대응의 패러다임 전환에 대해 각자의 의견을 나눴다.

정희용 의원은 "대형헬기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군이 보유한 항공기를 활용해 주·야간 진화가 가능한 방안을 내실 있게 고민하고자 오늘 자리를 마련했다"며 "대형화·연중화 되어가는 산불에 대응하고 국민의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회 농해수위 간사로서 관계부처와 함께 효율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유용원 의원은 "이제는 산불 피해규모가 과거와는 차원이 달라져 기존의 대응 방식에서 벗어나 발상과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오늘 제시된 아이디어 중 입법과 예산이 필요한 부분은 국회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